청주 몽골 럭셔리여행 CJB문화탐방 시원한 최적시즌 7-9월도 징기스칸대초원 승마 별샤워 & 사막 낙타 모래썰매 체험 엘트산 야생화트레킹 몽골전통공연 허르헉특식등 최상급 몽골여행 전국예약센터
청주 몽골 럭셔리여행 CJB문화탐방 시원한 최적시즌 7-9월도 징기스칸대초원 승마 별샤워 & 사막 낙타 모래썰매 체험 엘트산 야생화트레킹 몽골전통공연 허르헉특식등 전국예약센터
전국예약센터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200 수동빌딩 1층/ 043-224-4440/ 043-224-4441/
/전예지 실장 010-4555-3244/ 김정섭팀장 010-9425-1301 김부국대표 010-5461-3247/
몽골 징기스칸 역사의 대제국 지상안내
13세기 초 칭기즈칸에 의해 건국되어 유라시아 대륙을 호령했던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진 제국이었습니다. 칭기즈칸의 뛰어난 리더십과 몽골 기마병의 용맹함은 몽골 제국을 강력하게 만들었고, 동서양 문명의 교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몽골 여행은 광활한 대자연과 유목민의 삶을 체험하며 경이적이고 특별한 경험을 선사합니다.
1. 몽골 제국의 역사
칭기즈칸의 등장:
칭기즈칸은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있던 몽골 초원을 통일하고 1206년 몽골 제국을 건국했습니다.
뛰어난 전략과 용맹함으로 주변 국가들을 복속하며 제국의 기틀을 다졌습니다.
제국의 확장:
칭기즈칸의 후계자들은 정복 전쟁을 이어가며 제국의 영토를 크게 확장했습니다.
중국, 중앙아시아, 러시아, 중동, 동유럽까지 광대한 영토를 차지하며 세계사에서 유례없는 대제국을 건설했습니다.
문화 교류:
몽골 제국은 동서양 문명의 교류를 촉진하며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비단길을 조성하고 이를 통해 동서양의 교역이 활발해지고 당시 새로운 문화와 기술이 전파되는 가교역활로 세계를 하나로 열어 나갔습니다.
2. 징기스칸의 용맹성 과 동서양 문화교류
뛰어난 리더십:
칭기즈칸은 뛰어난 리더십으로 몽골 부족들을 하나로 규합하고 강력한 군대를 만들었습니다.
철저한 규율과 능력 중심의 인재 등용으로 군대의 전투력을 극대화했습니다.
뛰어난 전략:
칭기즈칸은 뛰어난 전략가로서 다양한 전술을 구사하며 수많은 전투에서 승리했습니다.
기마병을 이용한 가장삐른 기동성과 후퇴가 없는 포위 전술은 몽골 군대의 상징이었습니다.
강력한 추진력:
칭기즈칸은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는 강력한 추진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어떠한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목표를 달성하는 그의 모습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문명사적 차원에서 몽골제국은
* 팍스 몽골리카(Pax Mongolica): 몽골 제국의 안정적인 통치 아래 교역과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동서양의 문명이 교류되고 융합되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 역참 제도 확립: 몽골 제국은 효율적인 정보 전달과 물자 수송을 위해 역참 제도를 세계최초로 확립했습니다. 이는 제국 내의 경제 활동을 연계 활성화하고 교역을 촉진했습니다.
* 화폐 제도 도입: 몽골 제국은 통일된 화폐 제도를 도입하여 경제 활동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 교역로 정비: 몽골 제국은 안전한 교역 환경을 조성하고 아시아-유럽을 잇는 실크로드 교역로를 정비하여 동서양의 문화 상품 교류 교역을 크게 활성화했습니다.
3. 몽골 여행의 가치
광활한 대자연:
몽골은 광활한 초원, 사막, 호수 등 아름다운 특별한 경이적인 자연경관을 자랑합니다.
테를지 국립공원, 고비 사막, 홉스골 호수 등 다양한 자연 관광지가 있습니다.
유목민 문화 체험:
몽골에서는 전통 가옥인 게르에서 숙박하고 유목민의 생활 방식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승마 말 타기, 사막 낙타체험, 사막 썰매체험, 전통문화 게르 생활하는 모습, 몽골 기예마상쇼 , 전통예술공연문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밤하늘을 가득 채운 엄청난 별샤워를 감상하게되면 거대한 우주와 한몸이 되어 자신이 우주와 함께 존재함에대한 감사함에 감동적인 눈물을 흘리게 될것입니다,
또한 몽골의 허르헉, 게르캠프식등 푸짐하고 맛있는 전통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기회도 갖게 될것입니다..
몽골여행은 당시 앞서간 서양문명 국가들인 동유럽이 벌벌 떨런 (우리 한민족과 DNA가 가장유사한) 몽골 대제국의 영웅 징기스칸의 발자취의 땅을 돌아보는 일생일대 위대한 몽골 여정이 될것입니다!.
몽골국가 지상안내
국명 | 몽골(Mongolia) |
위치 | 중앙아시아 고원지대 북방에 위치한 내륙국가 북쪽으로 러시아,남쪽으로 중국과 접경 |
면적 | 156만4,116㎢,한반도의7.4배 |
기후 | 건성냉대기후 |
수도 | 울란바토르(Ulaanbaatar) |
인구 | 320 만명 |
주요 도시 | 다르한(Darhan),에르데넷(Erdenet),초이발산(Choibalsan) |
민족(인종) | 할흐몽골족(90%),카자흐족(5.9%),브리아드계(2%)등 |
언어 | 할흐 몽골어90%,키릴문자,문맹률5%이하 |
종교 | 라마불교(90%),무슬림(5%),무속 및 기독교(5%) |
건국 (독립)일 |
국가독립일: 1911년12월29일(만주국으로부터 독립) 국가독립일: 1921년7월11일(소련 적군과 연합해 중국으로부터 독립) 국가선포일: 1924년11월26일(러시아식 헌법을 채택,몽골인민공화국 선포) |
정부형태 | 민주공화제(1992년1월13일新민주헌법 발효, 2000년12월14일 헌법 개정, (총 의석수76석) |
국가원수 | 대통령: Khaltmaa Battulga (임기4년,연임 가능, 2017년7월9일 결선 당선) |
시차 | 한국보다1시간 늦음 |
몽골은 국토 면적에 비해 인구가 매우 적습니다. 남부지역은 사막과 황무지이며 서부는 고산지대입니다. 동부지역은 대평원이고 북부지역은 울창한 산림지역입니다. 몽골에서 생산하는 대부분의 농작물은 북부지역에서 나옵니다.
몽골의 주요 농작물은 밀,감자,양배추,당근 등이며 과일은 대부분이 수입산입니다.
20년 전이었다면 외국인이 살기에는 많이 불편했다고 했겠지만, 지금은 외국인이 살기에 전혀 불편함이 없습니다.
한국의 이마트도 3호점까지 있으며, CU는100호점 이상의 매장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GS25가1호점을 오픈하여 한국산 편의점들이 몽골에서 경쟁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식당도 60곳 이상이나 됩니다. 먹는 것으로 고생할 일은 없지요.
인구의55%는 울란바타르에서 거주합니다. 대부분의 인프라가 울란바타르시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지요. 30층이 넘는 고층 빌딩도 최근에는 많이 지어졌습니다. 외국인이라 해서 차별 대우를 받는 것은 없습니다. 외국인 명의로도 아파트나 건물을 구입할 수도 있습니다. 토지는 내국인만 거래가 가능합니다. 큰 돈을 벌 수 있는 곳은 아니지만, 먹고 사는데 어려움 없이 지낼 수 있습니다.
[ Mongolia ,蒙古] 학술적 연구자료,
요약 한반도의7.4배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가지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러시아,남쪽으로는 중국, 서쪽으로는 중앙아시아 국가들로 향하는 시작 지점이라는 매우 중요한 지정학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13세기 칭기즈칸(Chingiz Khan)에 의해 몽골제국이 성립되어 아시아와 유럽을 포괄하는 세계역사에서 가장 거대한 국가를 건설하였으며, 1990년 사회주의에서 민주주의로의 체제변환을 통해 현재 국가의 변혁과 발전을 이어오고 있다.
동북아시아 서북부 내륙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러시아, 남쪽으로는 중국과의 사이에 위치한다.몽골의 정식 명칭은 몽골국(Mongol Uls/Mongolia)이다.여기서 몽골(Mongol)은 몽골어로'용감한 또는 다수의 중심'이라는 의미이며,올스(Uls)는'국가'라는 의미다.
몽골지역은 과거 흉노(匈奴),선비(鮮卑),유연(柔然),돌궐(突厥),위구르(回鶻, Uighur),거란(契丹)등 북방유목민족들이 흥망성쇠를 이어갔고, 13세기 들어 칭기즈칸(Chingiz Khan)에 의해 몽골제국이 성립되어 아시아와 유럽을 포괄하는 세계역사에서 가장큰 영토를 점령하여 거대한 국가를 건설하였다.
몽골이 정복전쟁을 감행하는 과정에서 항복하지 않으면 적의 도시민 모두를 전멸시키는 작전으로 몽골군이 나타났다고 하면 애기 울음도 그쳤다는 설화가 있을 정도였다, 적토마를 통한 빠른 기동력, 말린 전투식량, 후퇴는 곧 죽음이기에 전진만해야하는 몽골의 강력한 군사력을 싸워서 이길 나라는 당시엔 없었다,그런
몽골제국도 분열과 쇠락을 이어오다 17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약300년간 만주족이 세운 청(淸)나라의 지배를 받았다. 청나라가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으로 붕괴하자 몽골은 당시 몽골 불교의 수장인 젭준담바 호탁트(Jevzundamba Khutagt)를 왕으로 추대하는 입헌군주제 국가로 독립을 하였으나 1919년 중화민국(中華民國)에 의해 독립이 철폐되었다. 이후1921년 러시아 소비에트의 지원을 통해 사회주의혁명에 성공하고, 1924년 세계 2번째 사회주의 국가인 몽골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그러나 1990년 민주화까지 몽골은 다시 구소련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고, 민주화 이후 현재까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통한 변혁과 발전을 이어오고 있다.
세계10대 자원 부국이라는 점에서 몽골의 경제적인 잠재력 가치도 높게 평가된다. 몽골은 30개의 몽골계 민족과 2개의 투르크계 민족 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지만 할하족이 전체의 약85%를 차지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수도 울란바토르(Ulaanbaatar)와 21개 도(道,몽골어로'아이막(Aimag)')로 되어있다.
한국과는1990년 몽골이 민주화된 해에 외교 관계를 수립하여 2020년 수교30주년이 되었으며, 2021년 양국은'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외교 관계를 격상하였다.
한국교민 수(주로 여행사, 항공사, 주재원, 금융업,,자원관계산업등에서 진출하여 일하고 있다)현재 약3,000명 정도(자료원:몽골 한인회) 체류하고 있다,.
=============================================================================
한국과 몽골은 역사적으로 1231년 고려고종18년(최우의 무신집권기)에 살리타이가 이끄는 대규모 몽골군대가 침략했으나 30년간 삼별초가 항복하지않고 끝가지 항전하며 고려왕조를 지켜낸 역사가 있습니다.
이때 아기를 나면 아기 방뎅이에 몽고반점이 생겨 현재까지도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국민이 되었고, 제주도에 있는 하루방도 몽골 전역에서 볼 수 있는 돌하루방으로서 돌하루방 문화가 이때 전파된 것으로 문화 인류학자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한국 고유 전통문화인 장승문화에서 나온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한국을 부흥시킨 박정희 지도자가 징기스칸의 후예라고 할말정도이고 한때는 발전된 한국과 몽골을 합병하자는 몽골 지도자가 대두될 정도였고 몽골 젊은이들은 한국언어, 한국문화에 완전 매료되어있으며 한국기업에 취업하는것이 그들의 꿈을 실현할 정도로 한국은 그들에게 가슴이 벅차오르는 이상적인 꿈의 국가라 할 것이다...중국인들과는 정치사회적으로 매우 적대적이지만 한국인 이라면 친가족 형제처럼 우호적인 국가이며 한국국민들을 친형제처럼 생각하는 몽골국민들이기에 방문하면 그 따듯함을 느끼게 된다.
------------------------------------------------------------------
----------------------------------------------------------------------------
-------------------------------------------------------------------------------
몽골은 한 폭의 아름다운 수채화다. 광활한 초원에선 양떼와 말들이 한가로이 풀을 뜯고, 흰 버섯 모양의 둥근 텐트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초원을 가로지르는 강줄기는 햇빛을 받아 은빛으로 빛나고, 가르마 같은 길을 따라 낙타를 타고 가는 이들의 행렬도 눈에 들어온다.
입국심사장에서 만난 몽골인들은 얼굴 생김새와 체형이 우리와 비슷한데다, 어릴 적 할머니에게서 들은 몽골반점 이야기 때문인지 왠지 친근하게 느껴진다. 이 유목민들은 13세기에 칭기스칸이라는 세계적인 걸출한 영웅이 태어나 이곳 중앙아시아 대초원에서 시작해 남으로는 남중국해, 서로는 발트해에 이르는 거대제국을 일궜지만 근세에와서는 중국에 내몽골을 내주고 국력이 쇄약해저 칭기즈 칸의 후손들에게선 800년 전을 떠올리게 하는 패기와 위용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들은 그저 온순하고 친절하기만 하다.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의 풍광은 우리나라의 1970년대 도시 풍광과 비슷하다. 최근 높은 빌딩과 아파트촌이 들어서있는 신도시가 있는가 하면 외곽에는 한편에 빈민과 유목민의 텐트촌도 널려 있다. 몽골의 면적은 남한의 16배이지만 인구는 300여만명에 불과하다. 이중 1/3인 100만명 가까이 울란바토르에 모여 거주하고 있다
우리에겐 ‘몽고’라는 국명이 더 잘 알려져 있지만, 이곳에서는 반드시 ‘몽골’이라고 말해야 한다. 몽고는 중국인이 주변 민족을 몽매한 야만인이라고 경시해 부르던 데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우너래 몽골의 영토였던 내몽골의 영토도 중국에 빼앗긴 상태여서인지 중국과는 사실상 관계가 좋지않다,. 1924년 수립된 몽골인민공화국의 약자인 몽골(Mongolia)이 정식 명칭이다. ‘외몽골’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중국 자치주인 내몽골과 구분해 부르는 명칭이다. 반드시 몽골로 국가 명칭을 불러줘야하며 내몽골 수복에 대한 몽골지도자들과 국민들의 강렬한 여망이 숨어 있음을 알수있다할것이다,,,
몽골은 공업주도형 시장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또한 국가 이미지 쇄신에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게 칭기즈 칸의 부활이다. 1921년 사회주의 혁명 후 한동안 그를 봉건적 압제자로 규정하여 그 이름조차 거명하지 못하게 했지만 지금은 다시 부활되어 공항, 거리, 호텔, 골프장, 보드카에까지 그의 이름을 브랜드화하여 붙이는 등 몽골의 자부심과 몽골의 상징으로 징기스칸의 존재감을 몽골국민의 정체성과 크나큰 영광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울란바토르 시청 앞에 칭기즈 칸의 초대형 동상이 세워저 국민에게 옛 영화와 향수를 자긍심 넘치게 고취시키고 있다.
시내로 들어서니 거리를 질주하는 차량의 절반 이상이 현대자동차이고, 한글 간판도 눈에 많이 띈다. 슈퍼마켓엔 우리나라 화장품, 과자, 식기류, 생필품이 널려 있다. TV에서는 ‘모래시계’ ‘대장금’ ‘겨울연가’를 최고의 인기로 방영되였고 상점이나 극장, 카페엔 으레 한국 연예인 사진이 걸려 있을 정도로 한류 열풍을 가장 실감할 수 있는곳이 또한 몽골이다. 한국식당도 60여곳 이상이 성업 중에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도 가장 많아 17개 대학과 3개 중등학교에 한국어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몽골인들은 한국정부와 민간단체가 학교와 병원을 세워주고, 양국간 청소년 교류도 활발해 한국을 ‘솔롱고스’, 즉 ‘무지개의 나라’라고 부르며 한국을 매우 감격적으로 좋아한다. 한국기업에 취업하는 것을 가문의 큰 영광으로 알고 공부하고있고 한국대학으로 유학을 가고자 노력하는 몽골의 많은 젊은이들의 한국사랑의 큰 꿈을 읽을수 있다, 몽골의 비전과 꿈이 한국과 같이 번영하는 나라를 만드는 것이라하며 한국을 따라 배우려고 전국민들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중이다..
--------------------------------------------------------------------------------=-----------------------------------------------------------------------
징기스칸!!!
칭기즈 칸(몽골어: ᠴᠢᠩᠭᠢᠰ
ᠬᠠᠭᠠᠨ Činggis Qan, Чингис хаан 한국 한자: 成吉思汗 성길사한, 문화어: 칭기스 한, 영어: Genghis Khan, (1162년 11월 12일 ~ 1227년 8월 25일)은 몽골 제국의 건국자이자 초대 칸이다. 중국식 별칭은 칭기스 황제,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법천계운성무황제(法天啓運聖武皇帝)이다. 본명은 보르지긴 테무친(몽골어: ᠪᠣᠷᠵᠢᠭᠢᠨ
ᠲᠡᠮᠦᠵᠢᠨ, 한자: 孛兒只斤鐵木眞 패아지근철목진)으로, 몽골의 여러 부족을 통합한 군사·정치 지도자로서 몽골 초원의 여러 부족들을 정복하고 몽골 대제국을 성립시켜 몽골과 중국 지역을 비롯해 동쪽 한반도에서 중앙아시아와 동유럽에 이르는 세계에서 가장 광대하고 넓은 영토를 정복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청나라 때는 그를 특목진(特穆津)으로 지칭되다가 청나라 멸망 후 테무진으로 복구되었다.
1189년 카마그 몽골의 칸으로 즉위했고, 1206년 전 몽골 제국의 칸으로 즉위했다. 존호인 칭기즈는 1206년 전 몽골의 칸으로 즉위하면서 몽골 제부족장들이 올린 존호명이다. 중화민국 건국 이전의 중국에서는 그를 성길사 황제라 칭했다. 몽골의 여러 부족을 통합하고, 능력주의에 기반한 강한 군대를 이끌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복자이자 성공적인 군사 지도자 및 인류 최대의 정복군주로 평가되는 전설적이고 신화적인 인물이다. 반면에 침략당했던 동유럽권과 서 아시아에서는 학살자이자 약탈자, 문명의 파괴자라는 상반된 평가도 같이 존재하고있다. 몽골에서는 신처럼 숭배하고있고 또는 국가 창건의 대영웅으로 칭송된다. 중국사에는 원(元) 태조(太祖)로 기록된다. 오늘날 그의 이름은 몽골수도 울란바토로 관문인 칭기즈 칸 국제공항으로 남아 여전히 빛나고 있다할것이다.
-------------------------------------------------------------
징기스칸: 개인의 역사와 대제국 건설
1. 어린 시절과 성장 환경:
1162년 몽골 고원에서 태어남. 본명은 테무진.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잃고 가난과 어려움 속에서 성장.
9살 때 숙적 타타르 부족에게 붙잡혀 노예 생활.
13살 때 탈출하여 몽골 부족을 통합하기 시작.
2. 몽골 통일:
뛰어난 리더십과 전략으로 여러 부족을 하나로 통합.
1206년 몽골 제국을 건국하고 칭기즈칸으로 즉위.
엄격한 군율과 혁신적인 군사 조직으로 강력한 군대를 창설.
3. 대규모 정복 활동:
주변 국가들을 공격하고 광대한 영토를 정복.
중국, 서아시아, 동유럽까지 영토를 확장.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제국을 건설.
1) 탁월한 전략:
기동성: 몽골 기병은 뛰어난 기동성을 바탕으로 빠르고 효율적으로 공격과 후퇴 전술을 전개
(하루 천리를 가는 적토마 1인당 2마의 말로 교대로 타고 이동 / 육포와 말젖을 활 용한 전투식량/ 최소한의 갑옷만으로 옷무게 줄임-동유럽등 70KG 철갑옷 기병 대비)
기습: 적을 불의에 공격하여 혼란을 야기하고 전술적 우위를 점했습니다。
포위: 적을 포위하여 항복을 강요하거나 전멸시켰습니다。
정보전: 첩보 활동을 통해 적의 동향을 파악하고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사신을 파견하여 항복의향을 타진하는등 정보수집을 강화하였습니다..
심리전: 적을 위협하고 공포에 몰아넣어 사기를 저하시켰으며 침공전에 항복을 얻ㄱ어내기도 하였음..
2). 혁신적인 전술:
혼합 병과: 기병, 궁병, 보병을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공격했습니다。
십진법 기반 조직: 군대를 10, 100, 1000명 단위로 조직하여 지휘와 통제를 효율적으로 했습니다。
철저한 훈련: 병사들에게 엄격한 훈련을 시켜 전투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후퇴는 군법으로 즉각 처형할 정도로 앞으로만 돌격 전진하였습니다..
야간 공격: 주로 야간 공격을 통해 적을 기습하여 사분오열시켜 혼란을 야기했습니다。
기술 활용: 공성 무기, 화약 등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3) 성공 요인:
뛰어난 리더십: 징기스칸은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로 군대를 통솔하고 병사들의 사기를 높였습니다。
엄격한 군율: 가차없는 징계와 포상을 통해 군율을 유지하고 조직력을 강화했습니다。
강력한 기병: 몽골 기병은 뛰어난 승마 기술과 활쏘기 실력으로 당시 세계 최강의 기병으로 평가받았습니다。(대한민국 올림픽 양궁을 석권하는 DNA 일부도 여기서 나왔다고 주장하시는 분도 계실정도입니다,)
뛰어난 적응력: 다양한 환경과 적에 맞춰 전략과 전술을 유연하게 변화시켰습니다。
강력한 동기 부여: 징기스칸은 병사들에게 정복에 따른 모든 전리품의 공정한 분배와 승진 기회를 제공하여 사기를 크게 드 높였습니다。
4) 징기스칸의 업적:
유라시아대륙을 통합하여 동서양을 아우르는 교역과 문화교류 활성화를 시킨 소통의 창시자...
Pax Mongolica(팍스 몽골리카)라는 몽골의 세계화를 추구한 통합의 시대를 세계최조로 만들어냄.
법률과 행정 역참 시스템을 정비하여 거대제국의 통치시스템을 를 만들고 강화시킨 인물.
5). 징기스칸의 평가:
서양에서는 잔인한 정복자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뛰어나고 탁월한 통찰적 지도자로 인정.
유라시아 및 세계 역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
징기스칸은 잔혹하고 무서운 정복자로 얘기 되기도하지만 아시아출신으로서 셰계를 정복하여 거대한 제국을 형성한 뛰어난 지도자였으며, 세계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입니다.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지만, 그의 업적은 세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영웅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
@ 징기스칸 명언....
집안이 나쁘다고 탓하지 마라. 나는 아홉 살 때 아버지를 잃고 마을에서 쫓겨났다”.
칭기즈 칸의 본명은 테무친, 그는 9세에 부족장이었던 아버지가 다른 부족에 의해 독살되자 자신의 부족으로부터도 버림받았다.
“가난하다고 말하지 마라. 나는 들쥐를 잡아먹으며 겨우 살아남았고, 내가 살던 땅에서는 시든 나무마다 비린내만 났다”.
돌봐 주는 이 없이 남겨진 어머니와 동생을 돌보기 위해 테무친은 손수 풀뿌리를 캐고 물고기를 잡았다.
“작은 나라에서 태어났다고 말하지 마라. 내가 세계를 정복하는 데 동원한 몽골 병사는 적들의 100분의 1, 200분의 1에 불과했다.”
17세에 아버지와 동맹 관계에 있던 다른 지역의 부족장으로부터 신뢰를 얻은 테무친은 아버지의 부하들을 다시 모으는 데 성공한다. 이후 11개 몽골 부족을 통일하고 부족장 회의인 쿠릴타이에서 몽골 전체의 우두머리, 칸으로 추대된다.
“배운 게 없다고, 힘이 없다고 탓하지 마라. 나는 내 이름도 쓸 줄 몰랐으나 남의 말에 귀 기울이면서 현명해지는 법을 배웠다.”
칸으로 추대된 그는 군대 및 정치 조직을 제대로 갖추고 법을 만들었다. 여러 나라를 정복하면서 유능한 인재를 부하로 삼았고 문화와 학문, 기술, 정보를 얻어 대제국 통치에 활용했다. 전쟁터에서 그는 병사들이 ‘테무친’이라고 부르는 것을 허락했고 병사들과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음식을 먹으며 같은 천막에서 잠을 잤다. 이런 노력의 결과 몽골은 불과 70년 만에 중국까지도 지배하는 역사상 가장 큰 제국으로 성장했다.
너무 막막하다고, 그래서 포기해야겠다고 말하지 마라. 나는 목에 형틀을 쓰고도 탈출했고, 뺨에 화살을 맞고 죽었다 살아나기도 했다”.
평생을 전쟁터에서 보낸 칭기즈 칸
죽을 고비를 수없이 넘기며 그가 이룩한 것은
1204년 몽골 고원 통일
1206년 서하, 금나라 정복
1223년 동서양에 걸친 대제국 건설
그리고 강인한 정신력과 불굴의 의지로 세계 역사상 가장 넓은 제국의 완성한 입지전적인 영웅적 인물이다....
문명의 우월성을 자랑하고있는 서양인들도 아시아 동양에 이러한 놀라운 영웅적 인물이 존재하였다는것에 믿을수 없는 일이라며 놀라고 있으며 이는 아시아인의 자긍심과 존재감을 극대화하는데 큰 역할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
-----------------------------------------------------------------------
### 몽골 여행의 인문학적, 역사적, 체험학적 가치 분석
#### **1. 엘승타슬하 모래사막 (Elsen Tasarkhai)**
- **인문학적 의미**:
몽골의 유목문화와 사막 생태계의 공존을 상징하며, "초원의 바다"라 불리는 독특한 지형이 지닌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보여줍니다.
- **체험학적 가치**: 낙타 타기는 실크로드 당시 글로벌 보부상들의 이동을 체험할수있고 사막에서의 스릴넘치는 모래썰매는 유목민의 전통 이동 수단과 놀이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사막에서의 석양 감상은 몽골의 광활한 자연미를 음미하는 명상적이고 환상적인 사막에서 펼처지는 노을의 정경은 잊지못할 일생일대 황홀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 **2. 울란바토르 시내 명소**
- **자이승 전망대 (Zaisan Hill)**:
과거 소련과-몽골과의 동맹의 역사를 담은 기념비로, 냉전 시기의 정치적 유산을 반영합니다.
- **이태준 열사 기념공원**:
한국 독립운동가이자 몽골에서 독립자금 조성등 독립투사로 헌신한 이태준선생의 애국적 희생을 기리는 장소로, 한-몽골 역사적 유대감을 상징합니다.
- **복트칸 겨울 궁전 (Bogd Khan Palace)**: 20세기 초 몽골 왕조의 마지막 황제 복트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역사 유물관입니다.
- **수흐바타르 광장**: 한국의 광화문 광장 같은 몽골 혁명의 영웅 수흐바타르와 칭기스칸 동상이 어우러진 정치·문화적 중심지입니다.
#### **3. 테를지 국립공원 (Gorkhi-Terelj National Park)**
- **징기스칸 기마상**:
세계최강 군대와, 지구상 가장 큰 몽골 대제국의 위대함을 상징하는 국립공원에 세운 거대 동상으로, 몽골 국가 정체성과 민족주의의 상징입니다.
- **어워 (Archery)**:
한국의 성황당처럼 토템적 산앙지로서 몽골 샤머니즘과 자연 숭배 사상을 반영합니다.
- **엘트 산 트레킹**:
신성한 산으로 여겨지는 엘트산은 탁트인 대초원의 전망과 각종 야생화가 펼처저 있어
마음과 몸을 저절로 치유케하는 아름답고 경이적인 자연환경을 지니고 있습니다. .
#### **4. 문화 체험**
- **징기스칸 마상쇼 & 전통 공연**:
유목민의 전쟁 기술(몽골의 세계정벌사)를 대변하는 놀라운 기예마상쇼는 눈을 뗄수없을정도로 흥미진진하며, 몽골의 전통 민속 예술(예: 후미)을 통해 역사적인 징기스칸의 영웅서사와 예술적 전통을 만끽하는 공연관람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노마딕 에니스 체험**:
유목민 가족과의 교류를 통해 몽골의 전통문화와 현대적 유목 생활의 변화를 깊이있게 관찰할 수 있는 인류학적이며 인문학적인 몽골유목민의 전통생활 체험입니다.
#### **5. 천문·지질 명소**
- **테를지 별 관측**:
아무런 공해 없는 청정 맑은 밤하늘에서의 천체 관측은 몽골의 자연환경 우수성을 증명하는 세계적인 별관측지로 공인받을 정도로 몽환적 판타지로 우주적 별샤워체험을 하실수 지구상 최상의 지역입니다.
- **거북바위·책 읽는 바위**:
자연 풍화로 놀랍게 거북모형으로 형성된 독특한 암석으로, 몽골인들의 자연형상을 기리고 신성시하는 몽골 문화 정신을 엿볼 수 있습니다.
#### **6. 국립박물관 & 국영백화점**
- **국립박물관**: 선사 시대부터 현대까지 몽골의 역사·문화를 체계적으로 전시한 특히 몽골의 장퀘한 호연지기 정신사와 위대한 정복역사를 보는 핵심 교육 공간입니다.
- **국영백화점**: 사회주의 시대의 상업 유산으로, 현대 몽골의 최고 첨단 유행 상품등을 판매하는 경제 변화를 반영합니다. 특히 몽골이 자랑하는 세계최고의 특산품인 캐시미어 의류상품을 접해 보실수 있습니다,
---
### **럭셔리 숙소 안내**
#### **1. 노보텔 울란바토르 (Novotel Ulaanbaatar)**
- **규모**: 5성급 초특급 호텔로 200개 이상의 객실과 컨벤션 시설을 보유한 도심 최대 규모 럭셔리 숙소 중 하나입니다.
- **조식**: 몽골 전통 요리(예: 보드그)와 서양식 뷔페가 혼합된 다양하고 글로벌한 최상의 뷔페 조식식사를 제공합니다.
- **특징**: 실내 수영장과 스파 시설을 갖춰 여행일정후 피로를 풀기에 탁월한 럭셔리 호텔.
#### **2. 테를지 럭셔리 캠프 (Terelj Luxury Camp)**
- **컨셉**: 유목민 전통 게르(Ger)에 현대적 편의시설(히팅, 개별 화장실)을 접목한
럭셔리 글램핑입니다.
- **체험**: 야간 모닥불과 전통 음식, 캠프파이어 공연을 통해 몽골의 정신을 깊이 체험할 수 있습니다.
- **환경**: 테를지 국립공원 내 위치해 자연 경관과의 탁월한 조화를 느끼는 공간입니다.
---
### **결론**
몽골 여행은 **유목문화의 정신성**, **지구역사상 가장 광대한 대제국 역사의 영광**, **현대적 변천**이라는 3층 구조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숙소 선택 역시 도심의 편리함(노보텔)과 자연 속의 정체성(럭셔리 캠프)을 오가며 몽골의 다층적 매력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유라시아 유목문명"**에 대한 심층적 탐구 및 우주의환타지한 별체험등 잊지못할 탁월한 여행기회가 될 것입니다.
칼럼리스트겸 월드라이프여행사 대표 김부국 010-5461-3247
첨부자료,,,,
@ 열(엘)트산 트래킹
엘트산은 테를지 국립공원 초원에서도 가장 기운이 좋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테를지 국립공원은 스텝기후 지역으로 비가 매우 적게 내려
어려운 풍토속에서도 끈질긴 생명력을 자랑하는 야생화가 피어있는 모습은 너무나 아름다운 정경이 펼처진다. (연간 강수량 250~500ml)
엘트산은 몽골 테를지 국립공원에 위치해 있으며, 광활한 초원과 기암괴석, 울창한 숲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합니다.
특히, 봄부터 여름 가을까지는 야생화가 만발하여 마치 알프스 초원을 연상시키는 아름다운 절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엘트산 정상에서는 테를지 국립공원의 탁 트인 전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징기스칸 몽골 대자연의 호연지기가 넘처나는 웅장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앨트산의 기분 좋은 좋은 기를 받아 함차게 오르다보면
정상(2,400m) 정상부에는 늑대 조형물이 나타나 있는데 이는 몽골인의 조상으로 상징하는 붉은 늑대가 울부짓는 용맹스러운 형상으로 몽골이 유라시아 세계를 점령하여 역사상 가장큰 대제국을 만들었던 그 기적을 읽을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 엄청난 氣를 받아오면 세상 거칠것이 없이 힘차게 나가게 될 것입니다...
-----------------------------------------------------------------
몽골의 이태준 열사 기념공원
외국에 나가면 우리는 모두 애국자가 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신분을 참배하며 기리는 것은 당연한 우리의 마음가짐이라 할것이다, 대한민국 국민이 일본의 국민소득을 능가하며 세계최고의 명품 초일류국가로 발전하고 있는 모습을 애국선열들이 보시고 계신다면 그 희생에 후손들이 답을 하고 있다고 감격해 하실것이 분명하다 할 것이다,,
몽골에 가시면 반드시 들려서 애국지사 이태준 열사를 기리고 추모하게되면 나라사랑하는 애국심을 다시한번 가슴에 새기게 될것입니다!
1883년 경남 함안에서 태어난 이태준은 서울로 상경하여 당시 독립운동가이자 최초의 서양의사가 된 김필순 형제가 운영하는 회사에 입사하여 열심히 일하던중 24세때 그의 성실한 인간됨에 탄복하여 김필순은 이태준을 장학금을 줘서 세브란스 의학교에 보내주게 된것이다,
세브란스의대에 재학중 안창호선생이 안중근의사 의거에 연류되어 모진고문을 당하고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게되자 안창호와 의형제였던 김필순이 안창호치료를 이태준에게 전담케 하면서 자연스럽게 안창호선생의 가르침으로 독립운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자신을 도와준 은인인 김필순이 테라우치 총독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망명길에 오르자 함께 중국으로 따라가 남경에 정착하여 기독회 의원에 의사로 취직하고 있다가 김규식선생이 독립군양성학교를 세우자는 말씀에 일제의 감시를 피해 당시 안전한 몽골로 이주하게 된다, 1914년 몽골에서 동의의국 병원을 개설하여 몽골국민들이 당시 굿과 주문을 통한 토템신앙으로 온갖 질병으로 고생하였는데 이때 이태준원장의 과학적이고 선진적인 탁월한 의술은 그를 몽골의 영웅적인 명의 의사로 몽골인민들에게 알려지고 추앙받게 되었다, 몽골민에대한 헌신적 치료로 슈버이처 박사처럼 큰존경을 받았고 ,몽골의 통치자인 보그드칸 몽골 왕의 주치의 까지 발탁되어 그공로 인민최고훈장까지 받았던 것이다,
몽골의 그의 병원은 한국인들이 모이는 독립투사들의 근거지가 되었고 이태준자신도 의열단으로 가입하여 독립자금을 조성하여 상해임시정부에 보내고, 또한 전재산을 독립군과 독립투사를 위해 물심양면으로 지원하던중 몽골을 점령한 백러시아군에의해 공산주의로 몰려 37세에 불행히도 처형당하고 말았다,
광복된 조국 대한민국은 이태준열사에게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여 그의 공로를 인정하고 대한민국 독립애국열사로서 역사에 등극 시켰다.. 그를 기리는 애국시민과 세브란스 의사 후배들이 모여서 이태준열사가 모셔저있는 몽골현지 묘소에 디지털 추모기념관과 장학재단을 만들어 그의 뜻을 현재까지도 기리고 있다, 대한민국이 현재 전세계 국가중 10위권의 경제력과 군사력 그리고 지구촌 문화를 선도하는 명품 대국이 된것은 목숨을 바친 애국 선혈인 이태준같은 애국지사가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였음을 다시한번 마음으로 상기하면서 몽골에 가면 반드시 그의 노고에 깊은 경의를 표하게되면서,. 몽골여행이 더 뜻깊은 보람된 여행이 될것이 분명한 일이라 몽골여행에 이태준열사 기념공원을 포함시켜 우리모두 애국시민이 되어 이태준 열사를 기리게 된 것이다,, , ...
칼럼리스트 겸 월드라이프여행사 김부국대표 010-5461-3247
청주 몽골 럭셔리여행 CJB문화탐방 시원한 최적시즌 7-9월도 징기스칸대초원 승마 별샤워 & 사막 낙타 모래썰매 체험
엘트산 야생화트레킹 몽골전통공연 허르헉특식등 전국예약센터
전국예약센터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200 수동빌딩 1층/ 043-224-4440/ 043-224-4441/
/전예지실장 010-4555-3244/ 김정섭팀장 010-9425-1301 김부국대표 010-5461-3247/